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전원 변환 source transformation 에 대한 깨달음(2)
    카테고리 없음 2025. 4. 25. 18:01

    이 글을 보기 전에 전원 변환 source transformation 에 대한 깨달음(1)을 먼저 완벽히 이해하고 와야한다.

    https://mharry345.tistory.com/13

     

    전원 변환 source transformation 에 대한 깨달음(1)

    전원 변환 source transformation이란 이름 그대로 전원장치를 서로 변환한다는 의미이다.즉, 전압원을 전류원으로 혹은 전류원을 전압원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전원 변환이 가능한 이

    mharry345.tistory.com

     

    저번 글에서는 변환하고자 하는 부분의 한 쪽 방향으로만 노드가 있는 경우에만 증명을 해보았다.

    그러면 이런 질문이 든다. "회로 중간에서 전원 변환을 할 수 있을까?"

     

    어떤 사람들은 "이거 그냥 되는겁니다. 왜 안되겠어요?" 라고 말하지만, 그렇게 생각하고 문제 풀다간 다 틀린다.

    제대로 알고 이해하고 공식을 쓰자.

     

    지금부터는 그래서 회로 중간에서 전원 변환을 할 수 있는지, 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아래 증명에서 는 그냥 설명을 짧게 하기 위함이지, 실제로 변환은 양쪽으로 다 가능하다.

    회로 내부에서의 전원변환이 가능한가?

    결국 정리하면 저번 글의 전제인 "한쪽으로만 열려있는 노드에 대해서"와 같은 조건인 i_s = v_s / R 을 만족하면

    회로 중간에서도 전원 변환이 가능하다. (물론 같은 브랜치에 있는 저항의 경우에, 뒤에 정리하겠지만...)

     

    이번엔 특별한 경우의 Source Tranformation을 보자. (사실 특별한 경우의 source transformation이라기 보다 그냥 특정 저항을 소거해놓고 외부 회로를 해석하는 방법이다)

    중첩의 원리 superposition theorem을 잘 이해했다면 아래 내용은 머릿속으로 증명이 될 것이다.

     

    중간 경우가 안된다는 점을 깊게 생각해보자

     

    그래서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결국 또 중첩의 원리이다.

     

    뭔가 변환을 해놓고 외부 전원장치들이 변환된 전과 후 차이를 느끼는지, 또 내부는 어떠한지를 확인하는거다.

    전원 변환을 할 때, 특정 저항을 지울 때 모두 일단 외부 전원장치들이 봤을 때 상황이 달라진다면 

    그것은 등가회로가 아닌 것이다.

     

     

    결론 : 외부 전원장치에서 보았을 때 전과 후 회로가 다르게 보이면 그 회로는 그렇게 변환될 수 없음.

    전원변환에서 같은 전압원 저항 직렬 관계라고 하더라도 같은 브랜치(?)에 있냐 없냐에 따라 변환이 될 수도 안될 수도 있음.

     

     

    반론이나 질문은 환영입니다.